반응형
순서도(Flow Chart) 도형 종류
flow chart(순서도)에는 각 도형마다 의미하는 바가 있다. 이에 대해 간단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사각형: Process, 처리 - 처리하여야 할 작업을 명시 (변수에 계산값 입력 등)
- 타원: Terminator, 단말 - 순서도의 시작과 끝
- 마름모: Decision, 판단 - 조건에 따라 흐름선을 선택 (주로 참, 거짓으로 선택)
- 아랫부분이 물결인 사각형: Document, 문서 - 프린터를 이용한 출력값 (서류와 같은 지면에 출력)
- 평행사변형: Data, 입출력 - 일반적인 데이터의 입력 또는 결과의 출력
- 양 변에 섹션이 할당된 사각형: Predefined Process, 정의된 프로세스 - 서브루틴이나 모듈과 같이 이미 정의한 프로세스를 호출
- 원기둥: Direct Data, 자기 디스크 - 직접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로, 하드 디스크를 의미
- 한 쪽 꼭짓점이 접힌 사각형: Card, 카드 - 카드리더(card reader)를 통한 입력
몇 가지 중요한 것들만 추려봤다. 자세한 내용을 사진을 참고하거나, 구글에 "flow chart guide"를 검색해보면 된다.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알아두면 좋은 IT 용어 정리 (+회사 용어) (2) | 2021.12.21 |
---|---|
[IT] 개발 프로젝트 포지션 종류, 간단한 정리 (0) | 2021.12.13 |
1의 보수, 2의 보수란? (0) | 2021.11.11 |
REST API란? (GET, POST, PUT, DELETE) (0) | 2021.09.27 |
개발자 도구 > Network > 'No throttling'의 의미? (스로틀링) (0) | 202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