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에러코드 설명 (404, 502, HTTP 응답 코드)
간단 요약
100 단위: 조건부 응답
200 단위: 성공
300 단위: 리다이렉션 완료 (요청 성공을 이해 추가 조치 필요)
400 단위: 요청 오류
500 단위: 서버 오류
HTTP의 응답 코드 중 자주 보이는 코드만 설명하겠다. 나머지 자세한 설명은 위키백과를 참고하면 좋다.
200번대
200번대에 있는 HTTP 응답 코드는 작업이 성공했다는 의미이다.
자주 보이는 코드인 200, 201, 204, 206만 설명하겠다. 나머지는 거의 볼 일이 없을 것이다.
- 200 OK
: 작업이 성공적으로 처리됐다는 의미이다. 가장 흔히 보이는 HTTP 상태이다.
: 기존에 있는 URI에 대한 요청이 성공했다는 의미이며, 주로 GET 메서드가 사용된다. - 201 Create
: 신규 URI에 대한 리소스 생성이 성공했다는 의미이며, 주로 POST 메서드가 사용된다. - 202 Accepted
: 요청이 접수됐지만 처리되지는 않은 경우이다. - 204 No Content
: 요청은 성공적으로 처리했으나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이다.
: 일반 사용자가 볼 일은 거의 없으며, API 요청에서 처리 결과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300번대
300번대에 있는 HTTP 응답 코드는 리다이렉션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단축 URL 서비스의 경우 접속시 301이나 302 코드를 보내고 헤더의 location에 리다이렉션할 실제 URL을 적어 보낸다.
- 301 Moved Permanently (영구 이동)
: 영구적으로 콘텐츠가 이동했을 때 사용된다. - 302 Found
: 일시적으로 콘텐츠가 이동했을 때 사용된다.
400번대
400번대에 있는 HTTP 응답 코드는 클라이언트 오류로써, 요청이 올바르지 않다는 의미이다.
- 400 Bad Request (잘못된 요청)
: API에서 정의되지 않은 잘못된 문법을 사용해서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 401 Unauthorized (권한 없음)
: 인증이 필요한 리소스에 인증 없이 접근했다는 의미이다.
: 단순히 권한이 없는 경우는 403 Forbidden이 뜨고, 401 Unauthorized는 브라우저에 어느 인증 방식을 사용할지 보내지 않았을 때 뜬다. - 404 Forbidden (거부됨, 금지됨, 접근 금지)
: 권한 밖의 접근을 시도할 때 서버가 요청을 거부했음을 의미한다.
: 예를 들어,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가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을 시도할 때 나오는 코드이다. - 404 Not Found (찾을 수 없음)Unauthorized
: 서버가 요청한 페이지(리소스, 데이터)는 찾지 못했다는 의미이며,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코드이다.
: 서버에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에 대한 요청이 있은 경우에 나오는 코드이다. - 408 Request Timeout (요청 시간 초과)
: 요청 중 시간이 초과되었음을 의미한다. - 410 Gone (사라짐)
: 404 Forbidden과는 달리 찾는 페이지(리소스,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사라진 경우를 의미한다.
500번대
500번대에 있는 HTTP 응답 코드는 서버 오류로써, 서버가 응답할 수 없다는 의미이고 요청이 올바른지 여부는 알 수 없다.
- 500 Internal Server Error (내부 서버 에러)
: 서버(또는 클라우드) 오류가 발생하여 요청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 서버(또는 클라우드) 내부 로직(코드)에 문제가 있는 경우로, 설정이나 권한 문제이거나, HTTP 요청을 통해 호출한 문서가 실제 HTML 문서가 아니라 JSP, PHP, 서블릿 등의 프로그램일 경우 해당 프로그램이 동작하다 세미콜론을 빼먹는 등의 에러로 비정상 종료를 할 때 발생한다. - 502 Bad Gateway (게이트웨이 불량)
: 게이트웨이가 연결된 서버(=웹 서버)로부터 잘못된 응답을 받았을 때 사용된다.
: 서버가 게이트웨이나 프록시 역할을 하고 있거나 또는 업스트림 서버에서 잘못된 응답을 받았다는 의미이다. - 503 Service Temporarily Unavailable (일시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음)
: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때 사용된다.
: 주로 웹서버 등이 과부하, 오버로드되었거나 유지관리를 위해 다운되었을 때 나타나는 코드이며, 일시적인 상태이다. - 504 Gateway Timeout (게이트웨이 시간 초과)
: 게이트웨이가 연결된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을 수 없었을 때 사용된다.
: 웹페이지를 로드하거나 브라우저에서 다른 요청을 채우려는 동안 한 서버가 액세스하고 있는 다른 서버에서 응답받는 시간이 초과됐을 때 나타난다.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복원 & 자세한 풀이 (2022년 1회) (0) | 2022.07.18 |
---|---|
[STS] ASCII Stupid Question, Get a Stupid ANSI 의미 (0) | 2022.03.28 |
[IT] hosts 파일이란? (호스트 파일 위치, 수정하는 법) (2) | 2022.01.10 |
[IT] 알아두면 좋은 IT 용어 정리 (+회사 용어) (2) | 2021.12.21 |
[IT] 개발 프로젝트 포지션 종류, 간단한 정리 (0) | 202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