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60

[Java, 객체지향] 클래스 상속(inheritance)이란?

[Java, 객체지향] 클래스 상속 (inheritance)이란? 클래스에서 상속의 의미 새로운 클래스를 정의할 때 이미 구현된 클래스를 상속(inheritance)받아서 속성이나 기능이 확장되는 클래스를 구현하는 것 상속하는 클래스 상위클래스, parent class, base clasee, super class 하위 클래스보다 일반적인 개념과 기능을 가짐 상속 받는 클래스 하위 클래스, child class, derived class, subclass 상위 클래스보다 구체적인 개념와 기능을 가짐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의 모든 멤버를 상속받으므로, 하위 클래스의 멤버 개수는 상위 클래스의 멤버 개수보다 항상 같거나 많다. 또한, 상위 클래스의 변경은 하위 클래스에 영향을 미치지만 하위 클래스의 변경..

Java 2021.08.11

[Java, 객체지향] static 메서드, 인스턴스 메서드 비교

[Java, 객체지향] static 메서드, 인스턴스 메서드 비교 static 메서드 (=클래스 메서드) static으로 시작 객체 생성 없이 '클래스이름.메서드이름()'으로 호출 메서드 내에서 인스턴스 변수 사용 불가능 (매개변수만으로 사용 가능) ★ 인스턴스 메서드 호출 불가능 ★ 언제 static을 붙이는가? 인스턴스 변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 (≒ 지역 변수를 사용할 때) ex) static long add(long a, long b) { return a+b; } 매개변수만으로 사용 가능하다. ex) Math.random() *지역 변수: 메서드 내에 선언한 변수 *static 메서드에 인스턴스 변수를 사용하면 에러 발생 인스턴스 메서드 static이 안 붙음 인스턴스 생성 후, '참조변수.메서드이..

Java 2021.08.10

[JavaScript] parseFloat() 사용법

[JavaScript] parseFloat() 사용법 parseFloat()는 문자열을 부동소수점(실수)으로 변환해주는 함수이다. 형식은 다음과 같다. parseFloat( string ) 띄어쓰기로 여러 개의 숫자가 이어져 있으면, 첫 번째 숫자만 바꾼다. 첫 문자가 숫자가 아닌 경우, NaN을 반환한다. (숫자로 변환할 수 있는 값도 해당됨) (ex) string = '12.345' 인 경우 : 12.345 반환 string = '12.345abcde' 인 경우 : 12.345 반환 string = "12.345 7.789" 인 경우 : 12.345 반환 string = "abc 12.345" 인 경우 : NaN 반환

[JavaScript] return문 설명

[JavaScript] return문 설명 return은 함수에서 반환하는 값을 정할 때 사용한다. return 반환값; function add(num1, num2) { add = num1 + num2; return add; } 위와 같이 코드를 짜면 add(=num1+num1) 값이 반환된다. num1=1, num2=2 이면 add=3이므로 3이 반환된다. 하지만, return 뒤에 add가 아닌 0을 입력하면, num1과 num2을 더한 add 값이 5이든 100이든 1000이든 항상 0이 반환되게 된다. function add(num1, num2) { add = num1 + num2; return 0; } 또한, return 뒤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으면 add에 num1과 num2를 더한 값이 저..

[JavaScript] ===와 ==의 차이 (!=와 !==의 차이)

[JavaScript] ===와 ==의 차이 (Identity vs Equality) == (Equality) 같음을 비교할 때 쓰이며,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반환한다. 타입 검사는 하지 않는다. === (Identity, Strict Equality) ===는 Identity라고 부르며, Strict Equality라고도 부른다. 즉, 같음을 비교할 때 ==보다 더 엄격하게 한다. 타입 검사도 하므로 같은 형식이어야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23 == '123' // true 123 == new String("123") // true '123' == new String("123") // true null == undefined // true 123 === '123'..

[JavaScript] document.querySelector() 사용법

[JavaScript] document.querySelector() 사용법 HTML, CSS, JavaScript(JS)를 이용해서 웹사이트를 만들 때, JS를 이용해서 html의 클래스와 태그를 조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document.querySelector() 를 이용한다. (main.js) const myElement = document.querySelector('.className'); 주의할 점은, 동일한 클래스명을 가진 요소가 여러 개 있을 경우 html 문서 내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는 요소를 선택자로 반환하게 된다.

[CSS] Button Hover 효과 사용법

[CSS] Button Hover 효과 사용법 CSS에서는 버튼에 다양한 hover 효과를 넣을 수 있다. 버튼에 색 입히기 버튼 사이즈 조절하기 라운드 버튼 만들기 버튼에 색깔 테두리 넣기 버튼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색이 변하게 설정하기 그림자 진 버튼 만들기 disabled button(누를 수 없게 만든 버튼) 만들기 이미지 위에 버튼 만들기 애니메이션 넣은 버튼 만들기 아래 링크에 관련 내용이 알기 쉽게 나왔으므로 이를 통해 확인하길 바란다. https://www.w3schools.com/css/css3_buttons.asp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