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60

[IT] 에러코드 설명 (404, 502, HTTP 응답 코드)

[IT] 에러코드 설명 (404, 502, HTTP 응답 코드) 간단 요약 100 단위: 조건부 응답 200 단위: 성공 300 단위: 리다이렉션 완료 (요청 성공을 이해 추가 조치 필요) 400 단위: 요청 오류 500 단위: 서버 오류 HTTP의 응답 코드 중 자주 보이는 코드만 설명하겠다. 나머지 자세한 설명은 위키백과를 참고하면 좋다. 200번대 200번대에 있는 HTTP 응답 코드는 작업이 성공했다는 의미이다. 자주 보이는 코드인 200, 201, 204, 206만 설명하겠다. 나머지는 거의 볼 일이 없을 것이다. 200 OK : 작업이 성공적으로 처리됐다는 의미이다. 가장 흔히 보이는 HTTP 상태이다. : 기존에 있는 URI에 대한 요청이 성공했다는 의미이며, 주로 GET 메서드가 사용된다...

etc 2022.01.22

[STS] 자동 주석 설정하기 (ini 파일)

[STS] 자동 주석 설정하기 (ini 파일) STS는 Eclipse를 기반으로 하므로, 아래의 내용은 ini 파일명 등 세세한 부분만 다를 뿐 Eclipse에서도 동일하다. 1단계. 주석에 적힐 user명 정하기 STS 설치 폴더로 이동한 후 SpringToolSuite4.ini 파일을 코드 에디터(ex. VSCode)로 연다. -Duser.name 부분에 주석에 적힐 유저명을 적는다. 이메일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적을 수 있다. -vmargs (...생략...) -Duser.name=15호의개발자@tistory.com 2단계. 자동 주석 설정하기 STS의 상단 탭 Window > Preferences > Java > Code Style > Code Templates > Comments 부분에서 자동 주..

Java 2022.01.10

[IT] hosts 파일이란? (호스트 파일 위치, 수정하는 법)

hosts 파일이란? hosts 파일이란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매핑해주는 파일이다. 보통, 주소창에 도메인으로 접속을 하면 DNS 서버를 통해 이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찾아서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 hosts 파일에 도메인과 IP를 임의로 지정하게 되면 DNS 서버보다 우선된다. hosts 파일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 후 저장해보자. (관리자 권한으로 저장해야하며, 방법은 아래에 적혀 있다.) 123.123.123.123 www.tistory.com 123.123.123.123은 임의의 IP이다. 이후 주소창에 www.tistory.com을 입력하면 티스토리로 정상 접속되지 않을 것이다. 이는 hosts에 www.tistory.com의 IP 주소를 123.123.123.123으로 매칭시켜놓았기..

etc 2022.01.10

[GIT] 깃 브랜치 갈아타기 (git checkout 사용법)

깃 클론을 한 후 로컬에서 코드를 수정했지만 add나 commit하지 않은 경우, 다시 깃 클론 상태로 되돌리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깃 리파지토리를 없애고 다시 깃 클론을 하게 되면 손 봐야 할 설정이 많아서 귀찮을 것이다. 이때는 git checkout 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 이는 커밋하지 않았거나 저장하지 않은 모든 로컬 변경 내용을 취소할 때 사용한다. 사실 checkout의 본래 목적은 branch를 갈아타는 것으로, 이렇게 사용하는 것은 약간 꼼수일 수 있다. 특정 repository에 있는 모든 소스파일에 적용하는 경우 (해당 repository 루트에서 실행한다.) git checkout . 특정 파일에 적용하는 경우 git checkout filename ex) git chec..

GIT 2022.01.09

이클립스 콘솔 사용법

이클립스 콘솔 사용법 왼쪽부터 순서대로 Clear Console - 콘솔의 전체 내용을 지운다. - 콘솔의 내용이 너무 많아서 로그를 보기 힘들 때 사용하면 유용하다. Scroll Lock - 콘솔 창이 스크롤 되지 않게 고정한다. - 콘솔에 많은 양의 로그가 출력될 때, 콘솔창이 계속해서 자동으로 스크롤되기 때문에 로그를 읽을 수 없다. 이 경우 Scroll Lock을 누르면 로그가 출력되더라도 콘솔창은 고정되기 때문에 로그를 편하게 읽을 수 있다. Word Wrap - 자동 줄 바꿈 기능 - 콘솔에 출력되는 로그가 길면 가로 스크롤을 이용해 로그를 읽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Word Wrap을 선택하면 자동 줄 바꿈 기능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가로 스크롤 없이 로그를 읽을 수 있다. Show Cons..

Java 2022.01.04

[Java] PostgreSQL-JDBC 연결하는 방법 (Eclipse 기준)

[Java] PostgreSQL-JDBC 연결하는 방법 (Eclipse 기준) PostgreSQL 설치 아래 링크에서 자신의 OS에 맞는 PostgreSQL을 다운로드 받는다. pgAdmin을 사용하기 위함이다. PostgreSQL: Downloads Downloads PostgreSQL Downloads PostgreSQL is available for download as ready-to-use packages or installers for various platforms, as well as a source code archive if you want to build it yourself. Packages and Installers Select your operating system family ..

Java 2021.12.27

[IT] 알아두면 좋은 IT 용어 정리 (+회사 용어)

[IT] 알아두면 좋은 IT 용어 정리 (+회사 용어) 아래 용어들은 순서가 있는 듯 없듯이 작성하였으며, IT 용어가 맞을 수도 아닐 수도 있으므로, 필요한 부분만 찾아서 읽는 것이 좋습니다. CDC 솔루션 (Change Data Capture) - 마지막으로 추출한 이후 변경된 데이터만 골라내는 기술 - 데이터 백업이나 통합 작업을 할 경우 방대한 데이터를 다뤄야 하는데, 원본소스 가운데 최근 변경된 데이터들만 골라 다른 시스템으로 옮기게되면 시스템 로드도 줄이고 전체적인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흔히 CDC라고 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 로그 기반 CDC를 의미한다. 개방형 데이터 (Open Data) - 필요로 하는 이들에게 무료로 공개하는 데이터 - 주로 정부 기관이나 비영리단체, 교육..

etc 2021.12.21

네트워크 기본 개념 요약 (OSI 7계층) (책 『모두의 네트워크』)

본문의 내용은 책 『모두의 네트워크 (10일 만에 배우는 네트워크 기초) _ 미즈구치 카츠야』에서 발췌하였습니다. 1장. 네트워크 첫걸음 01. 네트워크의 구조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간의 연결 인터넷: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 패킷: 컴퓨터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흘러가는 작은 데이터 조각 큰 데이터는 작은 패킷으로 분할한다. 02.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비트(bit):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 8 bit = 1 byte 문자 코드: 숫자와 문자의 대응표 (ex. ASCII 코드) 04.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 인터넷 회선(ex. 광랜)을 결정하고 계약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인터넷 공유기로 접..

Network 2021.12.20

[Linux] 셸스크립트/Bash 유용한 문법 모음($?, if/else문, try/catch문?)

[Linux] 쉘스크립트/Bash 유용한 문법 모음($?, if/else문, try/catch문?) $? 리눅스에서는 변수 앞에 $가 들어간다. 환경변수를 확인할 때 echo $PATH 등의 명령어를 자주 사용하는데, 이는 환경변수 또한 변수이므로 $를 붙여주는 것이다. bash(배시) 쉘에서 $?는 최근 실행한 명령어의 리턴 값(종료 스테이터스, exit status)을 의미한다. 배시에서는 성공적으로 실행됐다면 0을 반환하고, 실패했다면 1을 반환한다. (반환 값은 운영체제나 환경에 따라 조금 다르다.) '최근 실행한 명령어'라는 것은 바로 전에 실행한 명령어를 의미한다. $ true $ echo $? 0 $ false $ echo $? 1 if/else문 if [ $? -eq 0 ] then ech..

Linux_Ubuntu 2021.12.17

[Linux] 리눅스에서 쉘스크립트(.sh)로 Java 프로젝트 실행하는 방법

Linux에서 쉘스크립트 파일(.sh)로 Java 프로젝트 실행하는 방법 1. 리눅스에 자바를 설치한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리눅스에 자바를 설치한다. [Linux] 우분투 터미널로 Java 설치 (환경변수 설정 /etc/profile, ~/.bashrc) [Linux] 우분투에 자바 설치 (환경변수 설정 /etc/profile, ~/.bashrc) 1. 설치 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2. java 설치 $ sudo apt-get install openjdk-11-jdk.. unit-15.tistory.com 2. 자바 프로젝트 폴더를 리눅스에 옮긴다. 나의 경우 디렉터리 구조는 위와 같았다. test-project 하위..

Linux_Ubuntu 2021.12.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