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60

쿠버네티스 pod, deployment, service 생성/확인/삭제 (kubectl 이용)

[Kubernetes] 쿠버네티스 pod, deployment, service 생성/확인/삭제 쿠버네티스의 pod, deployment, service에 대한 개념을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쿠버네티스의 기본 오브젝트 [Kubernetes] 쿠버네티스 기본 오브젝트 4개 (간단한 설명) [Kubernetes] 쿠버네티스 기본 오브젝트 네 가지 오브젝트(Object)란? 쿠버네티스의 오브젝트는 쿠버네티스 시스템에서 영구한 객체이다. 즉, 오브젝트가 생성되면 쿠버네티스는 이 상태를 영구히 유 unit-15.tistory.com 1. pod 생성/확인 방법 // pod 생성 kubectl run NAME --image=dockerhub계정/dockerhub리파지토리:version // pod ..

Docker, Kubernetes 2021.12.08

[Kubernetes] 쿠버네티스의 서비스 종류 (4개)

[Kubernetes] 쿠버네티스의 서비스 종류 (4개) Kubernetes의 Service란? 쿠버네티스의 Service란 Pod의 집합을 의미한다. Pod는 클러스터 내에서 유동적이므로 접속 정보가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Pod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Service를 이용한다. 쿠버네티스 외부에서 내부로 접속할 때, 내부가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지, 파드가 살았는지 죽었는지 신경 쓰지 않아도 Service가 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기존 인프라에서 Load Balancer, Gateway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Kubernetes의 Service 종류 (Service Types) 쿠버네티스에서의 서비스는, 클러스터 외부에 서비스를 어떻게 노출(expose)하는지에 따라 크게 4가지로 구..

Docker, Kubernetes 2021.12.03

[기초] Ubuntu는 뭐고 Linux, UNIX는 무엇인가? (+GNU, GNOME)

[기초] Ubuntu는 뭐고 Linux, Unix는 무엇인가? (+GNU, GNOME) 이 글은 우분투(Ubuntu)와 리눅스(Linux)를 들어본 적은 있지만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을 위한 글이다. 이해를 위해 쉽게 설명하였으니 사실과 조금 다를 수는 있지만, 초보자가 알고있기에는 충분한 지식을 담았다. 유닉스-리눅스-우분투 선후관계 및 설명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우분투(Ubuntu)의 역사는 구글링을 통해 알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다루지 않겠다. 이 셋의 기본 개념과 선후관계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소개하고 넘어가겠다. 만들어진 시기 간단한 설명 유닉스 1960년대 후반 컴퓨터 운영체제의 한 종류. MacOS가 UNIX 기반의 운영체제이다. 매우 비싼 비용을 지불해야지 사용 가능 리눅스..

Linux_Ubuntu 2021.11.28

[쿠버네티스] 네임스페이스란? (+생성 방법/프로젝트 접근 방법) (OC)

[쿠버네티스] 네임스페이스란? (+생성 방법/프로젝트 접근 방법) (OC) 네임스페이스(Namespace)란? 네임스페이스는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구분하는 장벽이다. 따라서 엄밀히 말하자면 이 포스팅의 제목은 틀린 것이지만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간혹 있으므로 그냥 넘어가겠다. 이렇게 말해도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도커와 쿠버네티스의 사례를 이용해 이해해보자. 도커를 사용할 때는 컨테이너를 논리적으로 구분하는 방법이 없었다. 컨테이너와 그와 관련된 리소스들을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면 편할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쿠버네티스가 네임스페이스(Namespace)라는 오브젝트를 제공하여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구분하였다. 즉, 네임스페이스(또는 프로젝트)란 포드, 레플리카셋, 디플로이먼트, 서비..

Docker, Kubernetes 2021.11.28

순서도(Flow Chart) 도형 종류 (아키텍처, UML 다이어그램)

순서도(Flow Chart) 도형 종류 flow chart(순서도)에는 각 도형마다 의미하는 바가 있다. 이에 대해 간단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사각형: Process, 처리 - 처리하여야 할 작업을 명시 (변수에 계산값 입력 등) 타원: Terminator, 단말 - 순서도의 시작과 끝 마름모: Decision, 판단 - 조건에 따라 흐름선을 선택 (주로 참, 거짓으로 선택) 아랫부분이 물결인 사각형: Document, 문서 - 프린터를 이용한 출력값 (서류와 같은 지면에 출력) 평행사변형: Data, 입출력 - 일반적인 데이터의 입력 또는 결과의 출력 양 변에 섹션이 할당된 사각형: Predefined Process, 정의된 프로세스 - 서브루틴이나 모듈과 같이 이미 정의한 프로세스를 호출 원기둥: ..

etc 2021.11.27

[Kubernetes] 쿠버네티스란? 간단한 개념 및 설명 (+Docker 도커)

[Kubernetes] 쿠버네티스란? 간단한 개념 및 설명 쿠버네티스는 다수의 컨테이너를 관리하기 위한 툴로써, 컨테이너의 자동 배포와 배포된 컨테이너에 대한 동작 보증, 부하에 따른 동적 확장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서버 트래픽 갑자기 폭발할 때 pod 생성을 늘려서 서버가 다운되지 않게 해주는 것이 쿠버네티스이다. 처음에는 다수의 컨테이너만 관리하는 도구였지만, 현재는 컨테이너 인프라에 필요한 기능을 통합하고 관리하는 솔루션으로 발전했다. 쿠바네티스는 구글이 오픈 소스로 공개하였으며, 2015년에 쿠버네티스 버전 1.0이 출시되었다. 쿠버네티스(Kubernetes)의 의미 Kubernetes는 그리스어로 도선사(pilot)나 조타수(helmsman)을 의미한다. 도선사는 배를 수..

Docker, Kubernetes 2021.11.26

[Docker] 도커 명령어 모음

[Docker] 도커 명령어 모음 image 다운 docker pull image이름 (ex. docker pull httpd) docker images: 다운 잘 됐는지 확인 image 실행 docker run image이름 (ex. docker run httpd) docker run --name image이름 httpd (ex. docker run --name ws2 httpd) image 중단 docker stop container이름 (ex. docker stop ws2) image 재실행 docker start container이름 (ex. docker start ws2) container 실행 docker start container이름 docker run --name image이름 httpd..

Docker, Kubernetes 2021.11.26

Docker란? 간단한 설명(Docker Hub-image-container / pull-run-build)

Docker(도커)란? Docker에 대한 사전적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 "Docker"의 사전적 의미: 부두에서 컨테이너를 다루는 노동자 컨테이너를 다루는 노동자를 의미하는 만큼 Docker 로고를 보면 고래 위에 컨테이너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컨테이너라는 개념은 도커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도커는 개발환경을 쉽게 세팅할 수 있고 컴퓨터 자원을 훨씬 적게 차지할 수 있는 기술로써, 컨테이너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를 만들고 관리하는 것을 도와주는 컨테이너 도구이다. 리눅스의 컨테이너 기술을 이용해서 가상화를 하지 않고 프로세스만 격리해서 빠르게 실행시키는 기술이며, 가상 머신처럼 독립된 실행환경을 만들어주는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단, 가..

Docker, Kubernetes 2021.11.25

[Java] 자바의 예외 종류

Exception 1. IOException 2. ClassNotFoundException 3. ... 4. RuntimeException: 프로그래머 실수로 발생한 에러 1) ArithmeticException 2) ClassCastException: 형변환 에러 3) NullPointerException 4) ... 5) IndexOutOfBoundsException: 배열 범위 벗어나서 발생한 에러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하지 않게하려면? String str = null; str.length(); // Error String str = ""; str.legnth(); // OK Object[] objArr = null; // Error Object[] objArr = new Ob..

Java 2021.11.12

[Java] 지네릭스(Generics)에 대한 간단한 설명

지네릭스(Generics)란? 지네릭스란 컴파일시 타입을 체크해 주는 기능이다. (JDK 1.5 이상부터 가능) ArrayList coffeeList = new ArrayList(); coffeeList.add(new Coffee()); // 컴파일 성공 coffeeList.add(new Cake()); // 컴파일 에러 (JDK 1.5 이전에는 컴파일 성공됐음) 지네릭스 도입 이후(JDK 1.5 이후)부터는 ArrayList list = new ArrayList(); 라고 쓰기보다는 ArrayList list = new ArrayList(); 라고 쓰는 것이 더 좋다. 지네릭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에러가 나는 것은 아니지만, 지네릭스 도입 이후 버전에서는 전자와 같이 쓰는 것은 좋은 코드가 아니다. (*..

Java 2021.11.11
반응형